-
고양이 역류성 식도염 거대식도 위식도장겹칩증카테고리 없음 2023. 8. 19. 14:30
안녕하세요.
비아츠
입니다.
오늘은 고양이에서 발생한 거대식도증과
위식도장겹침증,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
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.
5개월가량의 고양이가 구토, 식욕부진
호흡기 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.
엑스레이 검사에서 식도가 확장되어 있고
위 내에 가스가 많이 차있는 것을 확인할 수
있었습니다. 복강 내 장에서는 이물질도 발
견이 되었습니다.
이물에 의한 장폐색이 의심되어 방사선 검사에서
확인되는 이상 소견을 토대로 내시경 검사와
조영 촬영을 진행하였습니다.
내시경 검사에서는 확장된 식도와
위-식도 연접 부위의 염증,
닫혀있어야 할 위-식도 연결 부위가
열린 상태로 위점막이 식도 내로 돌출되어
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.
장폐색을 감별하기 위한 조영 촬영에서
내시경 검사와 마찬가지로 확장된 식도와 식도내강으로 돌출된 위 점막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장 내 이물이 발견되기는 하지만 개통에는 문제가
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검사 결과를 토대로
1.거대식도(megaesophagus)
2.위식도장겹침증(gastroesophageal in tussusception)
3.역류성 식도염(reflux esophagitis)
이 진단되었습니다.
언뜻 보면 단순히 소화기 쪽 질환으로 생각할 수
있지만 원원발 요인은 호흡기 질환입니다.
호흡기질환으로 인한 비강 내 염증 때문에
호흡이 불편한 상태였고 이로 인해
흉강 내 지속적인 음압이 걸리다 보니
횡격막 아래쪽의 위점막이 흉부 식도 쪽으로
돌출, 위산 역류로 인한 식도염과 거대 식도로
발전하게 된 사례입니다.
내시경 시술 시 비강 세척을 동시에 진행한 후
호흡기 질환 치료를 지속하면서 2차 적인 소화기 질환을 관리해야 합니다.
원발요인이 해소될 경우 장 중첩은 자연스럽게
낫기도 하지만 반복적인 증상이 나타날 경우
수술적 교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단순히 눈에 보이는 문제보다는 원인을 찾아서
해결해 주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치료방법입니다.